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네트워크 39장 - 도메인 네임 스페이스(Domain Name Space) -

by ChocoPeanut 2017. 5. 13.

컴퓨터 네트워크 39

- 도메인 네임 스페이스(Domain Name Space) -

 

DNS는 거대한 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며 도메인 네임 스페이스, 네임 서버, 해석기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도메인 네임 스페이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도메인 네임 스페이스DNS가 저장 관리하는 계층적 데이터베이스이다. 최상위에 루트가 존재하고 그 아래로 모든 호스트가 트리 구조로 이어져 있다. 도메인 네임 스페이스의 호스트는 크기가 최대 63바이트인 레이블을 이름으로 갖는다. 도메인 이름은 점으로 구분한 레이블의 연속이라고 할 수 있다. 루트 호스트는 크기가 0인 널 레이블을 가지므로 이름이 없는 것이다.



도메인이라는 것은 계층적 구조를 가지고 같은 레벨에서는 레이블(이름)이 유일해야 한다. 도메인 이름은 최하위 레이블을 왼쪽에 위치하고 상위로 이동하면서 점으로 구분한 레이블을 표기하는 것으로 나타내어진다. 최상위부터 순차적으로 계층적 소속 관계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TLD는 최상위 도메인으로 루트 바로 밑에 위치한 레이블로 도메인 이름의 맨 오른쪽에 위치한다. RFC 1591TLD를 살펴보면 .com 은 상업적인 용도 .edu는 교육 기관 용도 .org는 다양한 종류의 기관을 의미하는 도메인이다. 또한 추가적으로 국가 코드를 활용하는 TLD도 존재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kr에 해당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는 인터넷 도메인 네임 스페이스를 계층구조로 분할하여 수행된다. 하나의 개념적인 저장장소를 갖지만, 실제로는 각 하부 도메인을 관리하는 호스트에 이름, 주소 관리 권한을 위임한다. 권한을 위임 받은 도메인 관리 서버는 자신의 도메인에 포함된 모든 레이블에 관한 정보를 적절하게 유지해야 하고 다른 도메인에 속한 호스트의 정보는 해당 도메인을 관리하는 네임 서버로부터 얻어낼 수 있다.


임의의 네임 서버가 관리하는 영역을 이라고 한다. 도메인과 유사하지만 다른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특정 네임 서버가 자신의 하위에 위치한 도메인을 전적으로 관리하면 존과 도메인이 동일하지만 하부에 새로운 도메인이 추가되면 두 영역이 일치하지 않는다.


DNS 서비스는 이름과 주소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이므로 레코드 개념이 필요하다. 자원 레코드는 DNS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개념으로 사용된다. 이름과 주소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레코드로 트리에 연결된 각 호스트의 정보는 자원레코드와 관계가 있게 된다. DNS 네임 서버가 해석기에 반환하는 데이터가 자원 레코드 정보에 해당한다. 질의 레코드도 존재하는데 DNS 클라이언트가 DNS 서버에 정보를 요청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자원 레코드는 도메인 이름인 Name 필드, 자원의 종류인 Type 필드, 프로토콜 패밀리인 Class 필드, 캐시 정보의 유효 기간인 TTL 필드 등을 가지고 있게 된다. Type으로는 호스트의 IP주소나 도메인을 관장하는 인증된 네임 서버, 호스트의 별명, 존의 시작을 표시, 호스트가 제공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등이 올 수 있다.




출처 - 데이터 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